담당자 | 관리자 | 등록일 | 2025-06-11 |
---|---|---|---|
첨부파일 | ![]()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정진)은우리나라 연구개발중심 바이오헬스산업계 대표단체로서 제약·바이오헬스산업의 수요를 반영한 R&D 지원환경을 조성하고 신약개발 육성·지원정책, 규제, 제도 환경등을 개선하기 위해 대정부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조합은 새롭게 출범한 정부의 제약·바이오헬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육성지원 정책 지원방향성을 제시하고 세부 실행 계획 수립에 기여하고자 지난 5월 조합원사를 비롯한 연구개발중심 신약개발기업을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렴한 바이오헬스산업계의 현장 의견과 글로벌 정책흐름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4대 전략 12대 정책 과제」를 도출하였습니다. 우리조합이 제안하는 「4대 전략12대 정책 과제」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K-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6대 첨단 산업 중 하나인 바이오헬스산업 육성 정책 공약의 실질적 이행을 뒷받침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써△ 신약개발 R&D 지원 확대 및 국가 R&D 지원시스템 개선, △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R&D 지원확대, △ 약가 제도 개선, △ 조세 지원 확대를 주요 골자로하는 4대 전략과 세부 과제로써 ① 장기적 국가 성장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바이오헬스 R&D 투자 지원 확대, ② 국가 R&D 지원 시스템 개선, ③ 국가 주도 연구개발 지원 체계에서「시장 수요 충족형 R&D」와 「시장 수요 견인형R&D」로 이원화된 R&D 시스템 구축, ④한국형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신약 개발 사업 발굴 및 지원, ⑤ 신약의 혁신 가치 기반 약가 제도 개선, ⑥ 혁신성 기준 부합 신약에 경제성 평가 수용 범위 유연 적용, ⑦국산 원료 의약품 사용 약가 가산 대상 범위 확대, ⑧ R&D세액 공제 제도 영구화, ⑨ 국가 전략 기술 범위 확장,⑩ 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한 조세 지원 확대, ⑪ 벤처/스타트업 현실적 세제 지원, ⑫ 대기업 투자 유인책 마련 세제 지원확대 등의 12대 과제를 담았습니다. 이에 따라 새 정부 출범을 기점으로 바이오헬스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확대 및 제도 혁신 등을 통해 국가 차원의실질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첨과 같이 「글로벌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4대 전략 12대 정책 과제 건의문」을 새 정부 및 국회 주요 상임위에 적극 건의하여 바이오헬스산업육성·지원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사오니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립니다. 첨 부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제약·바이오헬스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건의문(글로벌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4대 전략 및 12대정책과제) 1부. (끝) |